티스토리 뷰
이전의 글에서 각 키가 어떤 기능을 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하지만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기능 별로 하는 키들끼리 묶어서 연습하는 게 좋겠죠.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기능 별로 정리했습니다.
[커서 이동]
w | 다음 단어 첫 글자로 이동 |
W | 공백 기준 다음 단어 첫글자로 이동 |
e | 다음 단어 끝으로 이동 |
E | 공백 기준 다음 단어 끝으로 이동 |
b |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|
B | 공백 기준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|
t<문자> | 해당 문자 전으로 커서 이동 |
T<문자> | 해당 문자 전으로 커서 이동 (역방향) |
f<문자> | 해당 문자로 커서 이동 |
F<문자> | 해당 문자로 커서 이동 (역방향) |
; | 마지막 실행한 t, T, f, F 반복 |
, | 마지막 실행한 t, T, f, F 반복 (역방향) |
gg | 파일 맨 처음 줄으로 이동 |
G | 파일 맨 끝 줄으로 이동 |
<숫자>G :<숫자> |
n번째 줄(행)으로 이동 |
<숫자>| | n번째 칸(열)으로 이동 |
0 | 줄의 맨 처음으로 이동 |
^(=_) | 공백을 제외한 줄의 맨 처음으로 이동 |
$ | 줄의 맨 끝으로 이동 |
h |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 |
j | 커서를 아래로 이동 |
k | 커서를 위로 이동 |
l |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 |
H | 현재 화면의 가장 상단에 있는 줄로 커서를 이동합니다. |
L | 현재 화면의 가장 하단에 있는 줄로 커서를 이동합니다. |
M | 현재 화면 중앙으로 커서가 이동합니다. |
% | 괄호의 짝으로 이동 |
( | 이전 문장으로 이동 |
) | 다음 문장으로 이동 |
{ | 이전 단락으로 이동 |
} | 다음 단락으로 이동 |
+ | 다음 줄로 이동 |
- | 이전 줄로 이동 |
ctrl + b | 한 페이지 위로 커서 이동 |
ctrl + f | 한 페이지 아래로 커서 이동 |
ctrl + u | 반 페이지 위로 커서 이동 |
ctrl + d | 반 페이지 아래로 커서 이동 |
[입력 모드]
i | 현재 커서 앞에 삽입 |
I | 현재 줄 첫 부분에 삽입 |
o | 커서 아래에 새로운 줄 추가 후 삽입 |
O | 커서 위에 새로운 줄 추가 후 삽입 |
a | 커서 뒤에 글자 추가 |
A | 현재 줄 끝에 글자 추가 |
S(=cc) | 현재 줄 삭제 후 글자 삽입 |
c | 현재 커서 위치부터 지정한 범위까지 텍스트를 삭제하고 입력모드로 전환합니다. |
C(=c$) | 줄 끝까지 삭제하고 그 위치부터 입력모드로 전환 |
esc | 명령 모드로 전환 |
ctrl + c | 명령 모드로 전환 |
ctrl + [ | 명령 모드로 전환 |
ctrl + o | 명령 모드 실행 후 다시 입력모드로 복귀 |
[비주얼 모드]
v | 비주얼 모드 |
ctrl+v | 비주얼 블록 모드 |
V | 줄 단위 선택 |
[기타]
J | 현재 줄과 아래 줄을 합칩니다. |
. | 가장 최근의 편집 명령 반복 |
ctrl + ] | 정의로 이동 |
[삭제]
dd | 현재 줄 삭제 |
d$(=D) | 커서 위치부터 줄 끝까지 삭제 (커서 포함) |
d0 | 커서 위치부터 줄 시작까지 삭제 (커서 포함x) |
dgg | 커서 위치 줄(포함)부터 파일 시작까지 삭제 |
dG | 커서 위치 줄(포함)부터 파일 끝까지 삭제 |
x | 현재 커서 위치에 있는 문자를 삭제합니다. |
X | 현재 커서 앞에 있는 문자를 삭제합니다. |
[대소문자 전환]
~ | 현재 커서 글자 대소문자 전환 후 커서 이동 |
gU | 해당 단어 대문자로 변환 |
gu | 해당 단어 소문자로 변환 |
[치환]
r<문자> | 해당 글자 치환 |
R | 치환 모드 진입 |
:s/old/new | 현재 줄의 첫 번째 old를 new로 치환합니다. |
:s/old/new/g | 현재 줄의 모든 old를 new로 치환합니다. |
:<숫자>,<숫자>s/old/new/g | <숫자>~<숫자>번째 줄의 old를 모두 new로 치환합니다. |
:%s/old/new/g | 문서 전체에서 old를 new로 치환합니다. |
& | 마지막 치환 명령 다시 실행 |
[복사 및 붙여넣기]
y<이동명령어> | 복사 |
Y(=yy) | 현재 줄 복사 |
"+y<이동명령어> | 시스템 클립보드에 복사 |
"+yy | 시스템 클립보드에 한줄 복사 |
p | 현재 커서 다음 자리에 붙여넣기 |
P | 현재 커서 앞에 붙여넣기 |
"+p | 클립보드 내용 붙여넣기 |
[스크롤]
zz | 현재 커서 위치를 화면 중앙으로 정렬 |
z<enter> | 현재 커서를 화면 상단 부에 가도록 스크롤을 조정합니다. |
z- | 현재 커서를 화면 하단 부로 오도록 스크롤을 조정합니다. |
ctrl + e | 화면을 한 줄 아래로 스크롤 |
ctrl + y | 화면을 한 줄 위로 스크롤 |
[검색]
/<검색할 단어> | 해당 단어를 검색합니다. |
?<검색할 단어> | 해당 단어를 역방향 검색합니다. |
* | 현재 커서의 단어를 정방향으로 검색합니다. |
g* | 해당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단어를 정방향 검색 |
# | 현재 커서가 위치해 있는 단어를 역방향(뒤쪽)으로 검색 |
g# | 해당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단어를 역방향 검색 |
n | 검색 결과 정방향 이동 |
N | 검색 결과 역방향 이동 |
[undo & redo]
u | undo |
U | 줄 전체 변경 내용 되돌리기 |
ctrl + r | redo |
[그 외]
q<문자> | 매크로 등록 |
@<문자> | 매크로 실행 |
@@ | 가장 마지막 매크로 실행 |
:reg | 레지스트리 정보 확인 |
m<문자> | 마크 설정 |
'<문자> | 마크의 줄로 이동 |
`<문자> | 마크가 지정된 곳으로 이동 |
== | 현재 줄 자동정렬 |
gg=G | 현재 파일 자동정렬 |
>> | 한 단계 들여쓰기 |
<< | 한 단계 내어쓰기 |
ctrl + g | 현재 파일 상태 확인 |
'Oth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m(빔) 단축키, 명령어 한 번에 끝내기 (1) | 2025.02.25 |
---|---|
SHA256 해시값을 쓰는 이유와 해시값 확인 방법 (0) | 2023.06.02 |
파워포인트에서 한컴 글꼴 사용하기 (폰트 등록하기) (2) | 2021.12.20 |